본문 바로가기
Advertisement
시사

글로벌 시장 네비게이터: CPI 3.0% 발표! 예상치 하회... AI 슈퍼사이클과 함께 코스피, 암호화폐 랠리 지속 / Global Market Navigator: CPI 3.0% Released! Beats Expectations... KOSPI, Crypto Rally Set to Continue with AI Supercycle

by 이데아6926 2025. 10. 25.
Advertisement
반응형
SMALL

 

글로벌 시장 네비게이터: CPI 3.0% 발표! 예상치 하회... AI 슈퍼사이클과 함께 코스피, 암호화폐 랠리 지속

요약: 이번 주는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중대한 시험대에 오르는 한 주가 될 것입니다. 핵심은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인공지능(AI) 하드웨어 '슈퍼사이클'이 촉발한 강력한 미시 경제적 순풍 사이의 힘겨루기였습니다.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며 금리 인하의 명분을 강화했고,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기록적인 실적과 결합하여 코스피 및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의 상승을 강력하게 견인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1. Executive Summary 및 전략적 개요

이번 주는 현재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위험 선호(risk-on)' 심리가 중대한 시험대에 오르는 한 주가 될 것입니다. 핵심적인 긴장 관계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로 대표되는 거시 경제 환경과, 인공지능(AI) 하드웨어 '슈퍼사이클'이 촉발한 압도적으로 강력한 미시 경제적 순풍 사이에서 형성됩니다. 10월 24일 발표된 CPI 데이터가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흔히 '연준'으로 불림)의 비둘기파적 기조 전환(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기록적인 실적과 결합하여 궁극적으로 코스피(KOSPI) 및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의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핵심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예상치(3.1%)를 하회한 미국 9월 CPI(3.0%)는 연준의 매파적(긴축 선호) 행동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금리 인하의 명분을 제공합니다. 둘째, 3분기 어닝 시즌은 기존 기술 대기업과 AI 하드웨어 생태계 간의 뚜렷한 양극화를 보여줍니다. 셋째, 코스피는 더 이상 글로벌 교역 주기의 대리 지표가 아닌,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핵심 투자 수단으로 변모했습니다. 넷째, 암호화폐 시장은 글로벌 유동성(시장에 도는 돈의 양)의 민감한 지표 역할을 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CPI가 3% 상승한 기사를 AI로 생성한 이미지

2. 거시 경제의 시련: 예상 하회한 CPI와 연준의 경로

2.1. 9월 CPI 보고서 심층 분석 (10월 24일 발표)

미국 시간 10월 24일 오전에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를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결과로 나왔습니다.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월 대비(YoY) 3.0% 상승하여, 시장 컨센서스(예상치)였던 3.1%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또한 전년 대비 3.0% 상승, 월간 0.2% 상승에 그쳐 예상치를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를 재확인시켰습니다.

이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는 10월 말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회의체)를 앞두고 발표된 마지막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예상치(3.1%)를 하회한 3.0%의 CPI 결과는 연준의 긴축 기조 전환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켰습니다. 이는 단순히 금리 인하에 '충분히 양호한' 수준을 넘어, 연준이 10월 말 FOMC에서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강력한 명분을 제공합니다. 최근 고용 지표가 둔화되면서, 연준의 최우선 관심사는 이미 고용 시장 안정으로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2.2. FOMC 프리뷰: 가장 저항이 적은 길

시장은 이미 연준의 다음 행보를 확신하고 있습니다. 선물 시장은 10월 FOMC 회의에서 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을 96-98%로 압도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예상보다 낮은 CPI 발표로 인해 금리 인하에 대한 강력한 공감대는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연준이 인플레이션 통제에서 성장 지원으로 정책의 축을 명확히 옮겼다고 믿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대감은 투자자들이 현금 보유를 줄이고 주식 및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으로 이동하게 만드는 구조적인 변화를 촉발합니다.

2.3. 국채 시장의 신호: 비둘기파적 서사 확인

채권 시장도 주식 시장의 낙관론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00-4.01%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통화 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3.50-3.51%로 더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시장이 연준의 선제적인 금리 인하를 통해 심각한 경기 침체를 피하는 연착륙(soft landing) 시나리오를 기대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위험 자산에 가장 우호적인 신호 중 하나입니다.

표 1: 주요 글로벌 경제 지표 (2025년 10월 20-24일 주간)
지표 발표일 기간 실제 예측 이전
미국 CPI (YoY) 10월 24일 9월 3.0% 3.1% 2.9%
미국 근원 CPI (YoY) 10월 24일 9월 3.0% 3.1% 3.1%
유로존 종합 PMI 10월 24일 10월 - 49.5 51.2
영국 소매판매 (MoM) 10월 24일 9월 - 0.5% 0.6%

3. 3분기 실적 분석: 두 개의 기술 섹터 이야기

3.1. 압박받는 미국 기술 대기업: 성숙기와 마진 역풍

3분기 실적 시즌은 기술 섹터 내 뚜렷한 분기점을 보여줍니다. 테슬라(TSLA)IBM은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하와 비용 증가로 인한 마진 압박, 그리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향후 성장 전망으로 인해 시장의 부정적인 반응에 직면했습니다. 이는 많은 기존 미국 기술 기업들이 팬데믹 이후의 성장 급등세가 정상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3.2. 인텔의 반전: 산업 정책과 틈새 시장 집중의 결실

반면, 인텔(Intel)은 '깜짝 호실적'을 발표하며 시장을 놀라게 했습니다. 매출 137억 달러, 순이익 41억 달러로 극적인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인텔의 회복은 PC 시장의 주기적 회복과 더불어, 미국 정부(CHIPS Act)와 엔비디아 등 파트너로부터의 막대한 전략적 자본 유입에 힘입은 바가 큽니다. 이는 인텔의 성공이 순수한 시장 경쟁의 결과라기보다는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성공 사례임을 보여줍니다.

3.3. AI 슈퍼사이클: 한국 반도체의 지배

이번 주 가장 중요한 사건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기록적인 실적 발표입니다. 삼성전자는 시장 예상을 2조 원 이상 뛰어넘는 12.1조 원의 영업이익을 발표했고, SK하이닉스사상 최초로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 돌파가 기대됩니다. 이러한 경이적인 실적의 동력은 AI 가속기에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입니다.

이는 코스피 지수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이제 외국인 투자자들은 AI 인프라 구축이라는 구조적 성장에 직접 투자하기 위해 코스피를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최근의 대규모 외국인 자금 유입과 지수 상승을 설명하는 핵심 논리입니다.

표 2: 2025년 3분기 실적 스코어카드 - 미국 및 한국 주요 기술 기업
기업 3분기 실적 (매출/이익) 핵심 지표 주가 반응
Tesla 예상 상회 / 하회 순이익 급감, 마진 압박 부정적
IBM 예상 상회 성장 전망 실망 부정적
Intel 예상 상회 극적인 흑자전환 긍정적
Samsung Electronics 어닝 서프라이즈 반도체 부문 이익 급증 긍정적
SK hynix 사상 최대 실적 기대 HBM 시장 지배력 긍정적

4. 심층 분석: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태계

4.1. HBM 입문: AI의 엔진

고대역폭 메모리(HBM, High Bandwidth Memory)는 여러 개의 D램 칩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 전송 속도를 극적으로 높인 고성능 메모리입니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AI 프로세서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HBM 시장은 AI 서버 수요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4.2. 경쟁 구도: 3파전 양상

HBM 시장은 현재 SK하이닉스(점유율 약 62%), 삼성전자(약 17%), 그리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약 21%) 세 업체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차세대 HBM4 개발을 통해 공격적인 추격에 나서고 있습니다. 마이크론 역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습니다.

4.3. CoWoS 병목 현상: AI 공급망의 숨통

CoWoS(Chip-on-Wafer-on-Substrate)는 HBM과 AI 프로세서를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 TSMC의 첨단 패키징 기술입니다. 지난 몇 년간 이 기술의 생산 능력 부족이 AI 가속기 생산의 주요 병목 현상이었습니다. 하지만 TSMC가 생산 능력을 공격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이제 병목 현상은 패키징에서 HBM 메모리 자체의 공급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는 HBM 제조업체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표 3: HBM 시장 구도 분석 (2025년)
항목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예상 시장 점유율 ~60-65% ~15-20% ~20-25%
주력 제품 HBM3E HBM3E HBM3E
HBM4 양산 목표 2026년 2025년 말 / 2026년 초 2026년
경쟁 우위 시장 선점, Nvidia 파트너십 파운드리 통합, 공격적 가격 전력 효율성, 공정 기술

5. 코스피 영향 분석: 반도체 파도를 타고 4,000을 향하여

5.1. 실적이 지수에 미치는 영향 정량화

코스피는 3,941.59까지 급등하며 심리적 저항선인 4,000선에 근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랠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록적인 실적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두 회사의 합산 시가총액은 1,0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두 기업의 '어닝 서프라이즈'는 지수 전체의 가치를 끌어올리며 추가 상승의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5.2. 자금 흐름 추적: 외국인과 기관의 선택

최근 한 주간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은 2조 원이 넘는 한국 주식을 순매수했습니다. 순매수 상위 종목을 보면, 반도체(삼성전자) 외에도 조선(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및 방산(현대로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국제 자본이 한국 시장에서 AI 슈퍼사이클글로벌 에너지 전환 및 방산 붐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성장 스토리에 베팅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쌍끌이 엔진' 서사는 코스피 랠리에 더 견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5.3. 전망 및 주요 지지/저항선

실적 모멘텀에 힘입어 코스피 4,000선 돌파는 가시권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제 주요 리스크는 국내 경기 요인이 아닌,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의 실행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주요 지지선은 3,850선으로 설정하며, 향후 실적 전망치를 기반으로 추가 상승 잠재력을 타진할 수 있습니다.

6. 암호화폐 시장 분석: CPI 둔화가 확인된 이후

6.1. 거시 경제와 암호화폐의 상관관계

비트코인은 1억 6,000만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랠리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비트코인이나 금과 같이 이자를 주지 않는 자산을 보유하는 데 따르는 기회비용을 감소시켜 투자 매력을 높이는 핵심 요인입니다.

6.2. 투자 심리 전이와 자본 순환

AI 관련 기술주의 폭발적인 랠리는 강력한 '부의 효과(wealth effect)'와 긍정적인 투자 심리를 창출하여 암호화폐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기술주에서 이익을 얻은 투자자들의 자본 일부가 더 높은 위험과 수익을 기대하며 암호화폐와 같은 자산으로 순환되고 있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와 비트코인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했습니다.

6.3. 가격 전망: CPI 둔화가 확인된 이후

10월 24일 발표된 CPI가 예상치(3.1%)보다 낮은 3.0%로 나오면서, 강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이 우려했던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제거하고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청신호를 보낸 것입니다. 이 결과는 글로벌 유동성 서사를 강화하며 주식과 암호화폐의 추가 랠리를 강력하게 지지합니다. CPI 쇼크(약세 시나리오)의 가능성이 사라짐에 따라, 비트코인은 1억 7,000만 원-1억 7,500만 원 (약 $125,000-$130,000) 구간을 향한 상승세를 이어갈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7. 결론 및 투자 전략 Q&A

이번 주는 AI 슈퍼사이클이라는 강력한 구조적 추세가 인플레이션이라는 순환적 현실과 충돌하는 중추적인 시점입니다. 결론적으로, 한국 반도체 섹터의 이익 창출 능력은 완만한 거시 경제적 역풍을 흡수하고도 남을 만큼 강력하며, 연준의 정책 기조는 유동성 안전판을 제공하여 코스피와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Q. 코스피 투자자는 이번 주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나요?

A. 반도체 섹터, 특히 HBM 시장의 리더인 SK하이닉스에 대한 비중확대(Overweight) 포지션을 유지할 것을 권고합니다. AI 인프라 구축은 다년간 지속될 현상이며, 코스피는 현재 이 테마에 투자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입니다. 다만, 삼성전자의 HBM 인증 진행 상황과 TSMC의 생산 능력 증설 속도는 주요 모니터링 리스크입니다.

Q. 암호화폐 투자자는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요?

A. 비트코인을 연준 정책에 민감한 거시 경제 지표로 간주하고, 매수 편향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예상보다 낮은 CPI 발표로 주된 동력인 글로벌 유동성 기대감이 더욱 강해졌습니다. 기술주 랠리에서 비롯된 긍정적인 투자 심리 역시 지지 요인입니다. 가장 큰 리스크는 FOMC에서 예상과 다른 매파적 발언이 나오는 것이나, 현재로서는 그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습니다.

8. 면책조항 (Disclaimer)

본 자료에 포함된 정보는 투자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권유나 자문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Global Market Navigator: CPI 3.0% Released! Beats Expectations... KOSPI, Crypto Rally Set to Continue with AI Supercycle

Summary: This week, the market's 'risk-on' sentiment faced a critical test. The core tension was between the U.S. September CPI release and the powerful microeconomic tailwind from the AI hardware 'supercycle'. With the CPI coming in lower than expected, bolstering the case for rate cuts, this positive macro signal, combined with record-breaking earnings from Korean semiconductor companies, is forecast to strongly fuel the rally in risk assets like the KOSPI and cryptocurrencies.

1. Executive Summary & Strategic Overview

This week, the prevailing 'risk-on' sentiment in the market faced a significant test. A key tension formed between the macroeconomic backdrop, defined by the U.S. Consumer Price Index (CPI), and the overwhelmingly strong microeconomic tailwind from the AI hardware 'supercycle'. The October 24th CPI data came in more positive than expected,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a dovish (rate-cutting) pivot from the U.S. Federal Reserve (the Fed). This, combined with record-breaking earnings from Korean semiconductor giants, is expected to fuel a rally in risk assets like the KOSPI index and cryptocurrencies.

Key judg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U.S. September CPI (3.0%), which came in below the 3.1% forecast, dispels fears of hawkish Fed action and provides a clear rationale for rate cuts. Second, the Q3 earnings season reveals a stark bifurcation between legacy tech giants and the AI hardware ecosystem. Third, the KOSPI is no longer a proxy for the global trade cycle but has transformed into a key investment vehicle for the global AI infrastructure build-out. Fourth, the crypto market is acting as a high-sensitivity barometer of global liquidity, directly benefiting from rate cut expectations.

2. The Macro Gauntlet: CPI Beats Expectations, Paving the Fed's Path

2.1. Deep Dive into the September CPI Report (Released: Oct 24)

The September Consumer Price Index (CPI), released on October 24, came in as a strong positive for 'risk-on' sentiment. The headline CPI rose 3.0% year-over-year (YoY), which was lower than the market consensus forecast of 3.1%. Furthermore, core CPI (excluding volatile food and energy) also slowed to 3.0% YoY and just 0.2% month-over-month, reaffirming a disinflationary trend.

This data is pivotal as it's the last major inflation reading before the late October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meeting. The 3.0% result, beating the 3.1% forecast, has completely erased fears of a hawkish Fed pivot. This is no longer just 'good enough' for a rate cut; it provides a strong justification for the Fed to cut rates at the FOMC meeting. With recent employment data showing signs of slowing, the Fed's primary focus has already shifted to stabilizing the labor market.

2.2. FOMC Preview: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The market is already convinced of the Fed's next move. The futures market is pricing in a 96-98% probability of a 25-basis-point rate cut at the October FOMC meeting. The cooler-than-expected CPI print has only strengthened this consensus. This shows that market participants believe the Fed has clearly shifted its policy axis from inflation control to growth support. This expectation is triggering a structural shift, prompting investors to move from cash to riskier assets like stocks and crypto.

2.3. Signals from the Treasury Market: Confirming the Dovish Narrative

The bond market is supporting the equity market's optimism. The 10-year U.S. Treasury yield has fallen to 4.00-4.01%, while the more policy-sensitive 2-year yield has dropped further to 3.50-3.51%. This suggests the market is pricing in a soft landing scenario, where the Fed's pre-emptive rate cuts avert a severe recession, one of the most favorable signals for risk assets.

Table 1: Key Global Economic Indicators (Week of Oct 20-24, 2025)
Indicator Release Date Period Actual Forecast Previous
U.S. CPI (YoY) Oct 24 Sep 3.0% 3.1% 2.9%
U.S. Core CPI (YoY) Oct 24 Sep 3.0% 3.1% 3.1%
Eurozone Composite PMI Oct 24 Oct - 49.5 51.2
UK Retail Sales (MoM) Oct 24 Sep - 0.5% 0.6%

3. Q3 Earnings Analysis: A Tale of Two Tech Sectors

3.1. U.S. Tech Giants Under Pressure: Maturity and Margin Headwinds

The Q3 earnings season highlights a clear divergence within the tech sector. Tesla (TSLA) and IBM faced negative market reactions despite revenue growth, due to margin pressures from price cuts and rising costs, as well as disappointing forward guidance. This indicates that many established U.S. tech companies are seeing a normalization of post-pandemic growth spurts.

3.2. Intel's Turnaround: A Story of Industrial Policy and Niche Focus

In contrast, Intel (INTC) surprised the market with stellar earnings, achieving a dramatic turnaround to a $4.1 billion net profit. Intel's recovery is driven by a cyclical rebound in the PC market and, more significantly, massive strategic capital inflows from the U.S. government (CHIPS Act) and partners like Nvidia. This positions Intel's success less as a result of pure market competition and more as a case study in successful public-private partnerships.

3.3. The AI Supercycle: The Dominance of Korean Semiconductors

The most significant event this week is the record-breaking earnings from Korean semiconductor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reported an operating profit of 12.1 trillion KRW, smashing market expectations by over 2 trillion KRW. SK hynix is expected to surpass 10 trillion KRW in quarterly operating profit for the first time ever. The engine behind these phenomenal results is the explosive demand for High Bandwidth Memory (HBM) used in AI accelerators.

This is fundamentally changing the nature of the KOSPI index. Foreign investors are now buying into the KOSPI to gain direct exposure to the structural growth of AI infrastructure build-out. This is the core logic explaining the recent massive foreign capital inflows and the index's upward trajectory.

Table 2: Q3 2025 Earnings Scorecard - Key U.S. & Korean Tech Companies
Company Q3 Results (Rev/Profit) Key Metric Stock Reaction
Tesla Beat / Miss Plunging net income, margin pressure Negative
IBM Beat Disappointing growth outlook Negative
Intel Beat Dramatic swing to profitability Positive
Samsung Electronics Earnings Surprise Surge in semiconductor profits Positive
SK hynix Record earnings expected HBM market dominance Positive

4. Deep Dive: The High Bandwidth Memory (HBM) Ecosystem

4.1. HBM Primer: The Engine of AI

High Bandwidth Memory (HBM) is a high-performance memory architecture where multiple DRAM chips are vertically stacked to dramatically increase data transfer speeds.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AI processors, which need to process vast amounts of data quickly, solving the 'memory bottleneck' problem. The HBM market is experiencing explosive growth driven by AI server demand.

4.2. Competitive Landscape: A Three-Horse Race

The HBM market is currently dominated by three players: SK hynix (approx. 62% market share), Samsung Electronics (approx. 17%), and Micron Technology (approx. 21%). SK hynix leads the market thanks to its strong partnership with Nvidia. Samsung is aggressively playing catch-up with its next-generation HBM4 development, while Micron is leveraging its technology to expand its share.

4.3. The CoWoS Bottleneck: The AI Supply Chain's Choke Point

CoWoS (Chip-on-Wafer-on-Substrate) is TSMC's advanced packaging technology that bundles HBM and AI processors together. For the past few years, a shortage of CoWoS capacity was the primary bottleneck for AI accelerator production. However, as TSMC aggressively expands its capacity, the bottleneck is shifting from packaging to the supply of HBM itself. This further elevates the strategic importance of HBM manufacturers like SK hynix and Samsung.

Table 3: HBM Market Landscape Analysis (2025)
Metric SK hynix Samsung Electronics Micron Technology
Est. Market Share ~60-65% ~15-20% ~20-25%
Key Product HBM3E HBM3E HBM3E
HBM4 Target 2026 Late 2025 / Early 2026 2026
Competitive Edge First-mover, Nvidia partnership Foundry integration, price Power efficiency, process tech

5. KOSPI Impact Analysis: Riding the Semiconductor Wave Towards 4,000

5.1. Quantifying the Impact of Earnings on the Index

The KOSPI has surged to 3,941.59, nearing the psychological 4,000 mark and setting a new all-time high. This rally is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record earnings of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whose combined market capitalization has surpassed 1,000 trillion KRW. Their earnings surprise positively impacts the entire index's valuation, justifying further upside.

5.2. Tracking the Flows: The Choices of Foreig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e past week, foreig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net-bought over 2 trillion KRW of Korean stocks. A look at the top buys reveals that international capital is betting on two distinct structural growth stories in Korea: the AI supercycle (semiconductors) and the global energy transition/defense boom (shipbuilding and defense). This 'dual-engine' narrative provides a more robust foundation for the KOSPI rally.

5.3. Outlook and Key Support/Resistance Levels

Driven by earnings momentum, a break above KOSPI 4,000 seems within reach. The main risk is no longer domestic economic factors but the execution speed of the global AI infrastructure build-out. Key support is set at the 3,850 level, with further upside potential based on future earnings forecasts.

6. Crypto Market Analysis: After the CPI's Dovish Signal

6.1. The Macro-Crypto Correlation

Bitcoin has surpassed 160 million KRW, hitting a new all-time high. This rally is highly correlated with expectations of a dovish pivot from the Fed. A rate cut from the Fed is a key driver, as it reduces the opportunity cost of holding non-yielding assets like Bitcoin and gold.

6.2. Sentiment Spillover and Capital Rotation

The explosive rally in AI-related tech stocks is creating a powerful 'wealth effect' and positive sentiment that is spilling over into the crypto market. As investors profit from tech stocks, a portion of that capital rotates into higher-risk assets like cryptocurrencies in search of even greater returns. Historically, the tech-heavy Nasdaq index and Bitcoin have shown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6.3. Price Outlook: After the CPI's Dovish Signal

With the October 24th CPI coming in at 3.0% (below the 3.1% forecast), the bullish scenario has been realized. This removes a key inflation risk from the market and sends a green light for the Fed to cut rates. This result strengthens the global liquidity narrative, strongly supporting a continued rally in both stocks and crypto. With the possibility of a bearish CPI shock now gone, Bitcoin has secured the momentum to target the 170-175 million KRW ($125,000-$130,000) range.

7. Conclusion & Investment Strategy Q&A

This week was a pivotal moment where the powerful structural trend of the AI supercycle collided with the cyclical reality of inflation. Our analysis concludes that the fundamental earning power of the Korean semiconductor sector is strong enough to absorb mild macroeconomic headwinds, while the Fed's policy stance provides a crucial liquidity backstop, creat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both the KOSPI and the crypto market.

Q. What strategy should KOSPI investors adopt this week?

A. We recommend maintaining an overweight position in the semiconductor sector, particularly in HBM leader SK hynix. The AI infrastructure build-out is a multi-year phenomenon, and the KOSPI is currently the most direct vehicle to invest in this theme. Key risks to monitor are Samsung's HBM qualification progress and the pace of TSMC's capacity expansion.

Q. What should cryptocurrency investors watch out for?

A. View Bitcoin as a macro asset sensitive to Fed policy and maintain a buy-side bias. The primary driver, global liquidity,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cooler-than-expected CPI. Positive sentiment from the tech rally is also a supporting factor. The biggest remaining risk would be an unexpectedly hawkish tone from the FOMC, but the probability of that has significantly decreased.

8. Disclaimer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report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does not constitute investment advice or a solicitation to buy or sell any financial instruments. All investment decisions are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investor. This material cannot be used as a basis for any legal liability. While the information herein is believed to be reliable, its accuracy or completeness is not guaranteed.

Recommended Reading

2025.10.24-ETF 자금유입 주간 지도: BTC·ETH·XRP 포지셔닝 전략 분석 / Weekly Map of ETF Fund Inflows: Analyzing Positioning for BTC, ETH & XRP

 

ETF 자금유입 주간 지도: BTC·ETH·XRP 포지셔닝 전략 분석 / Weekly Map of ETF Fund Inflows: Analyzing Positioning

View English Version 한국어 버전 보기 ETF 자금유입 주간 지도: BTC·ETH·XRP 포지셔닝#ETF자금유입 #암호화폐ETF #비트코인ETF #이더리움ETF #XRPETF #기관투자자 #CPI #SEC #시장분석 #암호화폐투자이번 주 디지

www.ideas6926.cloud

2025.10.17-2025년 10월 암호화폐 플래시 크래시: 190억 달러 증발의 전말 / Anatomy of a Flash Crash: Reconstructing the October 2025 Crypto Market Collapse

 

2025년 10월 암호화폐 플래시 크래시: 190억 달러 증발의 전말 / Anatomy of a Flash Crash: Reconstructing the Oc

View English Version 한국어 버전 보기 플래시 크래시 해부: 2025년 10월 암호화폐 시장 붕괴의 재구성#플래시크래시 #암호화폐 #비트코인 #트럼프관세 #연쇄청산 #레버리지 #하이퍼리퀴드 #내부자거래

www.ideas6926.cloud

 

반응형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