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이더리움, XRP, 솔라나, 도지코인 — 강세 흐름 이어질까?
기준 시간: 2025년 7월 18일 오후 2시 (한국시간 기준)
Ⅰ. 주요 코인별 시세 현황 (24시간 기준 변화)
코 인 7/17 종가 (USD)7/18 현재가 (USD) 변동률
비트코인(BTC) | 118,748.2 | 119,445.4 | +0.59% |
이더리움(ETH) | 3,416 ~ 3,477 | 3,620 ~ 3,631 | +7.9 ~ +8.0% |
리플(XRP) | 3.00 → 3.37 | 3.37 | +10.3% |
솔라나(SOL) | 163.95 | 179.84 | 약 +10% |
도지코인(DOGE) | 0.2132 | 0.219 | +2.76% |
Ⅱ. 7월 17일 주요 변동 원인 분석
비트코인 (BTC)
- 사실상 보합권 움직임. 118,000달러 부근에서 안정적 흐름 유지
- 미 하원 ‘Genius Act’(스테이블코인 관련 우호적 법안) 통과 기대감
- SEC의 규제 완화 신호, 정치권의 입장 변화, 특히 트럼프·바이든 캠프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견고
이더리움 (ETH)
- 3,400달러대를 돌파하며 9% 가까운 랠리
- 블랙록 등 월가 대형 기관 매수세 유입
- 401k 퇴직연금에 암호화폐 편입 기대감 확산
- 공매도 청산 및 강한 롱 전환으로 파생시장에서도 강세 흐름
리플 (XRP)
- 단숨에 3.37달러로 급등, 동아시아(특히 한국 업비트)에서 폭발적 거래량
- 리플 ETF 소식과 기관 자금 유입이 상승세 견인
- SEC와의 법적 이슈 완화, 고래 매수세 뚜렷
솔라나 (SOL)
- NFT·DeFi 분야에서의 강세가 SOL 상승 이끈 요인
- 미국, 아시아 기관들의 지속적 순매수
- 최근 Solana 기반 신규 프로젝트들의 선전도 긍정적
도지코인 (DOGE)
- 비교적 안정적인 상승세
- 금리 인하 기대감, 머스크 관련 루머 등 시장 심리 자극
- 대형 고래 지갑의 순매수 흐름 속에 소액 투자자들은 일부 이탈
Ⅲ. 7월 18일 시장 전반 흐름
- 비트코인은 12만 달러 재도전 중 (최고 120,390달러 터치)
- 이더리움은 3,600달러대 회복, 거래소 간 가격차 축소
- XRP·솔라나 역시 강세 지속
- 업비트, 바이낸스 기준 세계 최대 현물 거래량 기록 중
공통적인 배경 요인
- 미국 SEC의 공식 입장 변화 및 ETF 승인 임박
- 퇴직연금 및 대형 기관 자금의 암호화폐 이동
- 7월 중순 ‘Crypto Week’ 기간 한시적 규제 유예
- 기술적으로는 파생시장 숏 청산 중심의 롱 전환 흐름 강화
Ⅳ. 내일(7월 19일) 및 단기 전망
코인 내일 예상 구간 주목 포인트
비트코인 | 120,000~122,000달러 | 규제·정책 시그널 따라 단기 등락 가능성 |
이더리움 | 3,650~3,800달러 | 연기금 자금 유입 여부가 핵심 변수 |
리플(XRP) | 3.4~3.5달러 | ETF 거래량 및 고래 누적 매수 지속 여부 |
솔라나 | 175~190달러 | NFT·DeFi 동반 강세 유지 여부 중요 |
도지코인 | 0.22~0.225달러 | 금리 뉴스 및 머스크 이슈에 민감 반응 |
Ⅴ. 종합 정리
-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랠리는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니다.
▶ 정책 변화(규제완화, 연금 포함), 기관 유입, ETF 승인이라는 구조적 변화가 주요 원인 - 이더리움과 XRP는 이번 장에서 가장 큰 상승 탄력을 받는 코인
- 업비트를 중심으로 한 한국 시장의 영향력도 뚜렷
-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수적 분할매매가 필요
- 시장이 개인이 아닌 기관 주도로 전환되는 만큼,
▶ AI 자동매매보다는 뉴스, 정책, 기관의 자금 흐름에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음
마무리 조언
이번 상승장의 핵심은 기관 자금의 본격 유입과 정책의 방향성입니다.
내일 발표될 규제 가이드라인, 미 하원 표결, 트럼프 캠프의 크립토 관련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 흐름은 더욱 분명해질 것입니다.
과열되지 않되, 기회를 놓치지 않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하루하루 변화를 체크하며 함께 시장을 지켜봅시다.
[면책고지]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암호화폐를 포함한 모든 디지털 자산의 매수 및 매도는 구독자님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른 손익에 대한 최종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투자 손실에 대해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21일(월) 오후 3시 기준 암호화폐 시장 분석 (8) | 2025.07.21 |
---|---|
2025년 7월 20일 오후 5시 기준 암호화폐 시장 분석 (7) | 2025.07.20 |
2025년 7월 18~19일 암호화폐 시황 심층 분석 (9) | 2025.07.19 |
2025년 7월 17일(목) 암호화폐 시장 분석 보고서 (17) | 2025.07.17 |
디지털 금융의 새로운 질서: 2025년, 가상자산의 미래를 해부하다 (32)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