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vertisement
시사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미래: 규제·혁신·통화주권(The Future of KRW Stablecoin: Regulation, Innovation, and Monetary Sovereignty)

by 이데아6926 2025. 8. 20.
Advertisement

South Korea Accelerates Won-Based Stablecoin Introduction: At the Crossroads of Regulation and Innovation

You can also listen to the full content of this article:

 

Introduction: A Watershed Moment for Korean Finance

South Korea is actively pursuing the introduction of a won-based stablecoin, a move that will be a watershed moment determining the future structure of the nation's financial industry. The current debate is framed by the Bank of Korea's caution versu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s proactive stance. This is a process of finding a balance to secure digital financial competitiveness while protecting monetary sovereignty.

 

1. Legislative Timeline and Regulatory Roadmap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is preparing a draft 'Digital Asset Basic Act,' with plans to announce the official version in October 2025. This is a phase-two legislation that goes beyond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effective July 2024) to cover stablecoin issuance, circulation, and reserve management. The core of this is the introduction of a licensing system, allowing only government-approved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issue won-based stablecoins.

 

2. Differing Views: Bank of Korea vs. FSC

Bank of Korea's Caution: The BOK remains consistently wary, citing risks such as: coin runs potentially spilling over to the traditional financial system; hindrance to monetary policy control; becoming a channel for foreign capital outflow; and eroding the traditional banking system by absorbing demand deposits. Thus, the BOK argues for strictly limiting issuers to banks and pursuing gradual expansion.

FSC's Push for Innovation: Conversely, the FSC prefers to bring the market into the institutional fold through regulation. Instead of leaving stablecoins in a regulatory gray area, it aims to guide manageable innovation by providing clear guidelines. The FSC is considering allowing non-bank entities that meet certain capital requirements to issue stablecoins, an innovation-friendly approach.

 

3. Banks' Preparations and Global Context

Major domestic banks (KB, Shinhan, Hana, Woori) are already preparing to secure a market position through dedicated teams, use case reviews, and overseas partnerships. South Korea's regulatory model appears to be a hybrid of the Japanese (bank-only issuance) and EU (bank/e-money institution issuance) models. This contrasts with the U.S. approach (e.g., GENIUS Act), which is more open to Big Tech and fintech firms, a direction Korea seems to be avoiding for now.

 

Conclusion: Idea's Perspective on the Path Forward

The debate over won-based stablecoins is not merely about incorporating a new financial product; it's a national strategic task at the intersection of monetary sovereignty, financial stabil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As Idea, I believe that indefinitely delaying this out of fear of risk is not the answer. The global digital finance market is moving too fast. The conflict between the BOK and the FSC is inevitable, but a balanced resolution can be found by institutionalizing a cooperative governance structure. The key is to create a 'sandbox' where innovation can be tested under strict supervision, while building robust institutional safeguards against foreign exchange volatility. The banks are ready, and the global market is changing rapidly. The won stablecoin will be the testbed that determines the future of Korean finance.

 

Q&A: Key Questions about Korean Stablecoins

Q1: Why is the Bank of Korea cautious about stablecoins?

A1: The BOK is concerned about systemic risks, such as a "coin run" (mass withdrawals) spreading to the traditional financial system, the potential weakening of its monetary policy control, and the risk of it becoming a channel for foreign capital outflow.

Q2: What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the success of a won-based stablecoin?

A2: Creating distinct use cases is key. In South Korea, where digital payments are already widespread, the stablecoin must offer unique value beyond simple payments, such as in programmable money, real-time securities settlement, or supply chain finance, to be widely adopted.

Q3: How does Korea's regulatory approach compare to other countries?

A3: Korea is taking a hybrid approach, similar to the EU and Japan, by favoring a bank-centric issuance model with a strict licensing system. This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U.S. model (e.g., the GENIUS Act), which is more open to non-bank and fintech issuers.


  • #KoreanStablecoin
  • #KRWStablecoin
  • #DigitalAssetRegulation
  • #BankofKorea
  • #FinancialServicesCommission
  • #CBDC
  • #MiCA
  • #BlockchainFinance
  • #CryptoPolicy
  • #DollarDominance

한국,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본격화:
규제와 혁신의 기로

이 글의 전체 내용을 음성으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서론: 한국 금융의 분수령

한국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5년 10월까지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며, 이는 단순한 디지털 자산 규제의 확대를 넘어 한국 금융 산업의 미래 구조를 결정할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현재 논의는 한국은행의 신중론과 금융위원회의 적극론이 맞서는 구도에서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는 통화 주권을 지키면서도 디지털 금융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1. 입법 일정과 규제 로드맵

금융위원회는 현재 ‘디지털자산 기본법’ 초안을 준비 중이며, 2025년 10월 공식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 법안은 2024년 7월부터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을 넘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유통·준비자산 관리까지 포괄하는 2단계 법제화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핵심은 인가제(licensing system) 도입입니다. 정부의 사전 허가를 받은 은행이나 금융기관만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해, 무분별한 발행을 차단하겠다는 의도입니다. 여기에 더해 모든 발행인은 발행신고서 제출을 의무화하여, 정부가 사실상 시장의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는 사후 규제에서 벗어나 발행 단계부터 관리에 나서는 전향적 규제 패러다임 전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의 입장 차이

한국은행의 신중론: 이창용 총재를 비롯한 한국은행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일관되게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인런 위험, 통화정책 저해, 외환 유출 위험, 기존 은행 체계 잠식 가능성. 따라서 한국은행은 발행 주체를 엄격히 은행으로 한정하고, 점진적 확대를 주장합니다.

금융위원회의 혁신론: 반대로 금융위원회는 규제를 통해 시장을 제도권에 편입시키는 방향을 선호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을 규제 회색지대에 두는 대신,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관리 가능한 혁신을 유도한다는 것입니다. 금융위는 은행뿐 아니라 일정 자본 요건을 갖춘 비은행 기업에도 발행을 허용하는 방향을 논의 중입니다.

 

3. 은행권의 준비 현황 및 글로벌 규제 동향

국내 주요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들은 이미 시장 선점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전담 조직을 운영하거나, 구체적 사용 사례를 검토하고, 해외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한국의 규제 모델은 일본(은행·신탁사 한정)과 EU(은행·전자화폐기관 한정)의 혼합형에 가까우며, 빅테크·핀테크에 개방적인 미국 모델과는 현재로서는 거리를 두는 분위기입니다.

 

결론: 이데아의 시선 - 한국 금융이 나아갈 길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는 통화 주권, 금융안정,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세 가지 축이 교차하는 국가 전략 과제입니다. 저 이데아는, 리스크가 두려워 마냥 도입을 늦추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디지털 금융 시장의 변화 속도가 너무나도 빠르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과 금융위의 갈등은 필연적이지만,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를 제도화한다면 균형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엄격한 감독 하에 혁신을 테스트할 수 있는 '안전한 운동장'을 만들어주는 동시에, 외환 변동성 등에 대비한 강력한 제도적 안전장치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은행들은 이미 준비를 마쳤고, 글로벌 시장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한국 금융의 미래를 결정짓는 시험대가 될 것입니다.

 

Q&A: 한국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핵심 궁금증

Q1: 한국은행이 스테이블코인에 신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대규모 인출 사태(코인런)가 전통 금융 시스템으로 번질 수 있는 전이 위험,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통제력 약화 가능성, 그리고 해외 자본 유출 통로로 악용될 수 있다는 외환 안정 우려 때문입니다.

Q2: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을 위한 가장 큰 과제는 무엇인가요?

A2: 차별화된 사용 사례 창출입니다. 이미 디지털 결제가 고도로 발달한 한국에서 단순 지급결제 기능만으로는 매력이 떨어집니다. 프로그래머블 머니, 실시간 증권결제, 공급망 금융 등 기존 시스템이 제공하지 못하는 혁신적 가치를 제공해야 널리 채택될 수 있습니다.

Q3: 한국의 규제 방식은 다른 나라와 어떻게 다른가요?

A3: 한국은 EU나 일본처럼 발행 주체를 은행 중심으로 하는 보수적 인가제 모델에 가깝습니다. 이는 혁신을 위해 핀테크나 비은행 기업에도 문을 열어두는 미국 모델(GENIUS 법안 등)보다는 안정성을 더 중시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딥다이브_ 금융 혁신 vs. 안정, 한국 금융의 미래를 가를 선택은_.mp3
3.46MB

  • #한국스테이블코인
  • #KoreanStablecoin
  • #원화스테이블코인
  • #KRWStablecoin
  • #디지털자산규제
  • #한국은행
  • #금융위원회
  • #CBDC
  • #블록체인금융
  • #가상자산정책
Advertisement